총 사고금액 250억 여원 달해... 사고금액 미회수도 심각
[충청뉴스 김거수 기자] 신협, 농협, 수협 등 상호금융권 횡령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2019년-2023년 7월) 신협, 농협, 수협에서 발생한 횡령사고는 121건을 기록했다. 총 사고금액만 250억 6000만 원에 달하는 규모다.
특히 올해에만 벌써 농협 8억 3000만 원, 신협 4억 7000만 원 규모의 횡령사고 총 24건이 금감원에 보고됐다.
횡령사고 규모는 농협 167억 원(66건), 수협 49.7억 원(13건), 신협 33.9억 원(42 건) 순을 기록했다.
상호금융권인 산림조합은 횡령사고가 발생하지 않았고, 새마을금고는 행정안전부의 관리‧감독을 받고 있어 금감원 제출자료에서는 빠졌다.
문제의 심각성을 키우는 것은 횡령자금의 회수 문제다. 사고금액 회수액보다 미회수액이 큰 경우가 다반사라는 점에서 ‘엎질러진 물’이란 지적도 나온다.
최근 최근 5년간 횡령사고 금액 합산액에 대한 미회수율은 농협 52%, 수협 38%, 신협 32%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황운하 의원은 “상호금융권이 최근 두드러지고 있는 연체율 문제에 횡령사고까지 더해져 전반적인 신뢰가 심각히 훼손되고 있다”라고 했다.
이어 황 의원은 “금감원, 금융위 등 금융당국의 고강도 대책 마련으로 상호금융권의 고질적인 횡령사고를 반드시 끊어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