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특화단지 탈락' 대전시 "자체 육성 추진"
'반도체 특화단지 탈락' 대전시 "자체 육성 추진"
  • 김용우 기자
  • 승인 2023.07.20 17: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앵커 기업 부재로 정부 공모서 고배
이장우 시장 "지방정부 주도로 확고하게 끌고 나갈 것"
대전시 반도체산업 자체 육성방안 추진안 조감도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시가 반도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공모 사업에서 고배를 마셨다. 공모의 핵심 기준인 산업 단지 내 앵커(선도) 기업 부재가 발목을 잡았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20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경기 용인‧평택, 경북 구미 등 7개 지방자치단체를 지정했다.

시는 기존 대덕연구개발특구 3500여만㎡와 유성구 교촌동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 530만㎡를 묶어 반도체 공모에 접수했지만 지정 대상지에서 배제됐다.

한선희 시 전략사업추진실장은 정부 발표 이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선정지역을 보면 반도체 관련 대기업이 상당히 많고, 이미 기업에서 대외적으로 투자계획을 발표한 지역이다. 반도체 앵커기업이 없다는 현실적 부분이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고 탈락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따라 시는 자체적인 반도체산업 육성방안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지역 내 산·학·연·관의 역량을 결집하는 등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먼저 시는 지난 3월 유성구 교촌동 일원이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에 선정됐고, 최근 반도체 인재양성 사업, 기반구축 사업 등 6개 공모사업에 잇따라 선정된 만큼 KAIST, ETRI, 나노종합기술원 등 기존 연구 역량을 극대화한다는 복안이다.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는 연구·교육캠퍼스, 설계캠퍼스, 제조캠퍼스를 조성해 수도권 반도체 생산거점과 협력할 수 있는 R&D혁신형 산업단지로 육성할 방침이다.

현재 국토교통부와 사업시행자 지정을 협의하고 있으며, 올해 안으로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하고 2029년까지 국가산업단지를 준공할 예정이다.

반도체 혁신생태계는 대덕특구 1~3지구와 지난 3월에 선정된 유성구 교촌동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를 연계한 총 1226만평 규모로 구성된다.

관내외 266개 기업이 투자 의향을 밝힌 약 160만 평 규모의 국가산업단지에는 설계·생산·소부장 밸류체인의 시스템반도체 혁신산업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출연연, 대학, 기업들이 이미 자리잡은 대덕특구는 추가적인 인프라 구축절차 없이 연구개발과 인력양성의 배후단지 역할을 맡아 국가산업단지와 연계해 발전시킨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지역 반도체 기업을 위한 연구개발, 인재양성, 팹리스 지원을 강화하기로 하고, R&D인프라와 인력을 갖춘 장점을 활용해 국가첨단반도체 기술센터(ASTC) 유치에 도전하기로 했다.

더불어 소재·부품·장비 실증평가원을 설립해 기업들의 실증지원을 강화하고 친환경 첨단공정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전시 반도체산업 자체 육성방안 추진 방향

이와 함께 KAIST 반도체공학대학원,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양자대학원과 충남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 등 6개의 인재양성사업에 선정돼 5년간 1484억원을 투입해 인재육성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팹리스 지원을 위해선 인공지능반도체 설계기업을 유치하고, 고급 인력들이 창업할 수 있도록 설계자동화 툴 지원 및 반도체설계교육센터를 확대·운영할 계획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역의 미래전략은 지방정부의 주도하에 일관적이고 확고하게 끌고 나가야한다”며 “세계 최고의 역량을 가진 대전이 국가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좌고우면하지 않고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