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에 공천신청자들이 대거 몰리면서 일부 군소 여론조사 기관이 난립해 대전ㆍ충남지역 총선후보자를 비롯한 세종시 초대시장 공천에서 특정후보를 유리하게 만들기 위한 객관성 없는 여론조사결과를 공표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불법적인 여론조사 공표 사례로는 자신에게 유리하게 나온 조사결과를 언론을 통해 공표하기도 하고, 여론조사 결과가 자신에게 나쁘게 나올 경우 아예 발표를 안 하는 등 부작용이 심각해 해당 선관위의 지도감독이 절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소재 메이저 여론조사기관을 통해 여론조사를 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지만 일부 언론을 끼고 있는 여론조사기관들은 자신들의 영리 목적에 부합한 후보자에게 실비로 유리한 여론조사를 해주며 지역여론을 호도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지도감독이 필요하다.
여기에 소규모 여론조사 회사를 차려놓고 후보자들에게 선거홍보물과 유세차량 계약을 유도하는 등 후보자에게 여론조사 무한 제공과 실비제공을 미끼로 영업을 펼쳐 선관위 관리감독의 필요성ㅣ 제기되고 있지만 대전, 충남 선관위는 구경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회사는 여론조사 샘플을 수탁을 의뢰하는 후보자에게 받아 저렴하게 여론조사를 실시해주고 편법적인 여론을 호도하는 등 사회적 역기능을 양산하고 있다.
지난 2010년 6.2지방선거를 앞두고 일부 언론기관이 여론조사를 공표했지만 선거결과는 사뭇 다른 결과가 나와 언론사의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만 키우면서 공신력이 떨어지는 모순을 보여준 사례도 적잖다는 것이 선거 후 드러난 바 있다.
이에 대해 정당의 책임자들과 선관위가 공정성과 객관성, 투명성을 갖추지 못하면서 돈만주면 후보자에게 유리한 여론조사를 대신해 주는 일부 여론조사 기관에 대한 강력한 처벌로 신뢰도를 높여 유권자들에게 믿음을 심어줘야 하는 순기능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뒤따르고 있다.
각 당마다 여론조사 등 심사 기준과 방법을 정하기 위해 공정한 게임의 룰을 만들어 지역의 일꾼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선관위의 불법적인 여론조사 형태에 감시 기능을 주문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