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신호 교육감, "서구 용문초부지 대안학교 설립 추진"
김신호 교육감, "서구 용문초부지 대안학교 설립 추진"
  • 김거수 기자
  • 승인 2012.02.07 14: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맞춤식 예방 대책으로 천사지킴이를 활용한 ‘Yellow Card제' 도입 등

대전시교육청(교육감 김신호)은  7일 오전 정부의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발표에 이어 시교육청이 추진할 ’학교폭력 근절 대책‘을 발표했다.

▲ 대전시교육청(교육감 김신호)
김교육감은 이번 대책을 발표하면서 “처벌보다는 예방에 역점을 두었다.”고 강조하고 교육감 자신과 온 교직원이 최선을 다 할 것을 약속했다.

학교폭력은 교사와 학부모, 지역사회가 같이 해결해야만 할 문제이며, 교권이 신뢰받고 확립되지 못하면 바로잡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고 지역사회, 언론, 정치권, 사회단체의 진정한 도움을 요청하고 나섰다.

김 교육감은 대전은 타 시,도보다 학부모 지식수준이 높고, 맞벌이 가정이 많아 대전지역 특성에 맞는 대안학교 설립을 서두르고, 학부모교육 강화를 비롯하여, 천사지킴이를 활용한 ‘Yellow Card제' 도입 등 학생 및 학부모, 교사, 학교에 적절한 맞춤식 예방 대책을 수립하여 학교폭력 근절의 실효성을 거두는데 대책의 중점을 두었다고 밝혔다.

특히 대안학교부지로는 대전서구 용문동 삼원식품공장부지였던 용문초 부지에 대안학교를 설립하겠고 밝혔다.

▲ 대전시교육청(교육감 김신호)
그 주요 대책은 다음과 같다.

□ 학생관련 대책
1. 실천중심 인성교육 강화
- 도덕, 윤리, 국어, 사회 등 관련 교과에서 공감, 이해, 배려, 교우관계, 인권 교육 철저
2. 범죄인식교육과 공감 이해 교육
- 또래상담에서 역할극과 학교폭력 예방 동영상을 통한 교육 실시
3. 문제해결능력과 위기대응능력 교육
- 안돼!, 멈취!, 중재자의 호루라기 등, 적극적으로 거부 표현 교육
- 왕따 폭력 가해학생 징후 체크리스트와 조치법 활용
4. 교사 또는 중재자(천사지킴이 학급당 3~4명)에 의한 'Yellow Card'제
- 1단계 : 구두경고 : 재발 시 처분 예고
- 2단계 : Yellow Card : 학생특별상담, 학부모 소환, 과제부과 등
- 3단계 : Red Card : 출석정지, 강제전학, Wee스쿨 위탁교육 등 격리
5. 학생위험 경보 제도(risk alarm system) 도입으로 학교폭력 원스톱 신고 및 대응체제 정비
- Wee센터에 117 학교폭력신고센터 24시간 운영
- 교육청 홈페이지, e-mail(singo@edurang.net), SNS, 사이버 상담(www.wee.go.kr ; www.cyber1388.kr)운영
- 전문상담교사, 전문상담교사 자격증 소지자, 또래상담자격 학생
6. 피해학생 심리적 치유 위해 전문상담기관 의뢰
- 8개 심리치료 전문상담기관과 협약 체결
7. 가해학생에 대한 단호한 처벌과 격리
- 학생특별상담, 학부모 소환, 과제부과, 출석정지, 강제전학, Wee스쿨 위탁교육, 퇴학 등

□ 학부모관련 대책
1. 신속한 치료를 위해 선치료지원(학교안전공제회)후 가해학생 부모에게 구상권 청구
2. 가해 학생 학부모 특별교육 의무화
3. 학부모 가정교육 연수
4. 학부모 일일교사 체험
5. 위험군 학생 학부모 상담 정례화

□ 교사관련 대책
1. 전문상담교사 증원 배치(교과부 협의 또는 자체로)
2. 복수 담임제도 도입(2012 중학교, 2013 고등학교 확대)
3. 교실 메니페스토제 도입(담임과 학생의 문서 약속)
4. 학생 대상 설문 활용
5. 담임의 위험군 학생 상시 밀착 지도 관리
- 위험군 학생 파일 작성관리 시스템 구축

□ 학교관련 대책
1. 학생폭력 대응 및 처리 매뉴얼 비치 활용
2.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활성화(분기별 1회 정기 개최)
3. ‘그린 마일리지’ 상․벌점제 운영 내실화
4. 일진 등 위험군 학생 전수조사로 폭력학생 실태 파악
5. 학부모 학생위기관리 안내 책자 배부
6. 학부모 재능기부봉사단, 학부모 상담자원봉사자 운영
7. 학교 안전망 구축
- Wee클래스, Wee센터, Wee스쿨 운영 강화
- CCTV 증설 및 통합관제센터 운영

□ 학교, 가정, 사회, 언론 협력 체제 구축
1. 학교폭력대책지역위원회 구성(시청)
2. 학교폭력대책지역협의회 구성(5개 구청)
3. 학교폭력 근절 캠페인 운동 전개
- 밥상머리교육 범국민 캠페인 전개
- 범사회적 학교폭력 추방 캠페인
- 사이버 폭력 범국민 캠페인
- 교육청, 시청, 의회, 경찰청, 시민단체와 캠페인 전개(연 2회)
- 방송, 언론, 시민단체와 연계하여 연중 근절 캠페인 전개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