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김민숙 대전시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이 대전시교육청의 글로벌 현장실습 행정처리와 관련 "안전불감증"이라며 비판했다.
김 의원은 10일 교육위원회 소관 대전시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국내에서도 현장학습으로 타 지역으로 이동할 때 최소 2인 이상의 교사가 동행한다"며 "글로벌 현장학습에 참여하는 학생 수가 34명임에도 불구하고 보호자 격으로 함께 동행한 파견교사가 단 1명에 불과한 점은 교육청이 안전문제에 대해 너무 둔감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이같이 지적했다.
시교육청의 글로벌 현장학습은 호주 브리즈번 시에서 특성화고 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 직무영어, 직무교육, 현장실습을 운영하고 현지 취업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2012년부터 2019년까지 8년간 진행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호주 출입국 금지로 2년간 진행을 못했다가 올해 다시 재개되어 현재 34명의 학생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교육국장 및 장학관, 장학사로 구성된 현장점검팀이 지난달 25일부터 11월 1일까지 호주 출장을 다녀온 것에 대해서도 짚었다. 교육감이 7월 말 현장점검을 하고 MOU까지 맺고 왔는데 2개월밖에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굳이 현장점검을 다녀온 이유에 대해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적어도 국장님께서 가실 사안이면 학생들이 가는 날 책임자로 함께 가서 일주일간 학생들을 응원하며 적응못하는 학생들은 격려해주고, 도저히 학습진행이 불가능한 학생들은 귀국조치를 하는 것을 진행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말 가셔야 하는 분은 해당 직업교육의 전문가인 일선 학교의 교사들"이라며 "교사들도 우리 교육 상황과 외국 현지 상황의 차이를 파악하고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줘야 한다. 교사들도 배워야 한다”며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에 분야별 교사들의 참여 확대를 주문했다.
그러면서 “국외여행 심사위원회에서 안전문제에 대한 확인이 되지 않은 이유가 심사위원회의 인적 구성이 교육청 내부직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인 것 같다. 다양한 관점으로 제대로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원의 개선이 필요하다”며 개선을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