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20일 대전시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전시 국정감사가 전임 시장의 주요 정책을 비판하는 성토의 장으로 끝났다.
이날 국감은 국민의힘 소속 의원만 참석한 채 반쪽으로 시작됐다. 전날 검찰의 민주연구원 압수수색 시도에 반발한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오전 긴급 의원총회로 인해 국감 종료 30분 전에야 합류했다.
사실상 여당 의원들의 독무대가 된 국감장은 민주당 출신 전임 시장이 추진했던 주민참여예산과 지역화폐 온통대전 등 주요 정책을 문제 삼으며 ‘전임 시장 때리기’에 총력전을 폈다.
국민의힘 장제원 의원은 대전시의 주민참여예산을 일부 시민단체의 돈줄로 연결지으며 포문을 열었다.
장 의원은 “3년 사이 30억원에서 200억원으로까지 늘어나고, 특정 성향의 소수 시민단체를 위한 꿀단지로 전락했다”며 “전임 시장 때 있었던 부패의 카르텔을 철저하게 도려내서 절대로 시민들의 혈세가 특정 단체들의 먹잇감으로 사용되는 일이 없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장 의원은 이어 "전임 시장이 자신의 선거운동을 하며 공약 수립을 도운 특정 단체에 그 대가를 준 것 아니냐"며 "지방재정 운영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주민참여예산이 이 같은 알선수재의 통로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 시장은 "시장 취임 이후 주민참여예산제를 살펴보니 큰 문제가 있었다. 소수의 시민단체 중심으로 사업을 나눠가졌다는 것"이라며 "철저히 예산에서 배제시킬 것"이라고 했다.
같은 당 김웅 의원은 지역화폐 온통대전에 대해 맹공을 퍼부었다.
김 의원은 "4천700억원의 혈세를 써가며 온통대전 사용금액의 10∼15%를 돌려줬는데 유성구와 서구의 음식점·의료기관·학원·주유소 등에서 집중 사용됐다"며 "과연 온통대전 할인 혜택이 취약계층의 소비지출을 늘렸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전시가 온통대전 운영을 하나은행에 맡기면서 올해까지 수수료 98억원을 지급하기로 했는데, 결국 취약계층이나 소상공인에게 돌아가는 혜택 없이 특정 은행 배만 불리는 것 아니냐"라고 지적했다.
이에 이장우 시장은 "전임 시장 때 표심을 얻으려고 선심성으로 내놓은 소비지원금이고, 특히 선거를 앞두고 돈을 뿌린 것"이라며 "중산층 이상만 많이 써서 혜택을 더 받는 불평등 구조인 만큼 폐지하고 소상공인을 직접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종료 30분 전에 국감장에 도착한 민주당 소속 의원들은 '현대 아웃렛 화재 참사' 대책 등 형식적인 질의에 그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