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거수 기자] 스타벅스가 2,503억원에 달하는 고객선불충전금을 현금이나 안전자산이 아닌 고위험·고수익 기업어음에 투자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은 7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잘로 하는 스타벅스로부터 제공받은 자료와 2021년도 에스씨케이컴퍼니(구, 주식회사 스타벅스커피코리아) 회계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를 밝혔다.
양 의원에 따르면 스타벅스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5년간 고객으로부터 받은 선불충전금 규모는 무려 8,769억원에 달한다. 이 선불충전금액 중 고객이 아직 사용하지 않는 금액은 2021년말 기준 2,503억원으로 나타났다.
선불충전금액은 2017년 916억원에서 2018년 1,142억원, 2019년 1,461억원, 2020년에는 1,848억원으로 2017년 규모의 2배를 넘어섰고, 2021년에는 3,402억원으로 3.7배 급증하였다.
선불충전금액이 크게 늘어나면서 선불충전금 미사용금액도 덩달아 늘었다. 2017년 692억원에서 2018년 941억원으로 늘어났고 2019년에는 1천억원 돌파 1,292억원에 달했다. 2020년에는 1,801억원, 2021년에는 2,503억원까지 늘어 2017년 규모대비 3.6배 증가한 것이다.
선불충전금액과 미사용금액이 크게 증가한 반면, 선불충전금 환불액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18억원에서 2018년 35억원, 2019년 72억원까지 늘었지만 2020년에는 47억원으로 줄어들었고, 2021년에는 34억원 수준으로 크게 감소했다.
문제는 고객으로부터 판매하고 아직 사용하지 않은 선불충전금 미사용액의 사용처가 논란이다. 스타벅스는 의원실에 2021년 미사용금액 2,503억원을 현금형태로 은행통장에 보관하고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2021년도 회계감사보고서를 확인한 결과 거짓으로 드러났다.
2021년 회계감사보고서 확인한 결과, 2,503억원 중 현금은 140억원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모두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ABCP는 매출채권 등 만기가 비교적 짧은 자산을 기초로 기업어음(CP)를 발행한 것으로 평균금리가 8.5~9% 수준의 고금리 상품에 속한다.
스타벅스가 5년간 미사용 선불충전금액을 기준으로 ABCP 평균금리로 투자했을 경우 추정수입은 2017년 58억원~62억원, 2018년 80억원~84억원, 2019년 109억원~116억원, 2020년 153억원~162억원, 2021년에는 212억원~225억원 등 최소 612억원에서 최대 649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양정숙 의원은 “선불충전금은 고객들에 대한 빚인데, 이 자금을 고금리를 좇아 고위험 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있는 것은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지적하고 “경제위기로 국가 자체가 위기에 처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기업어음은 더더욱 위험할 뿐 아니라 최근 공공기관이 추진하는 프로젝트에서 부도가 발생했다”며 고객 자금의 안전관리를 주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