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전국위 개최... 비대위원장 인선도 함께 이뤄질 가능성
[충청뉴스 김거수 기자] 국민의힘의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상임전국위원회는 5일 비대위 전환을 추인했다.
국힘 상임전국위는 이날 당 상황을 ‘비상상황’으로 규정하며, 비대위 전환에 대한 결론을 내렸다.
상임전국위는 참석인원 40명 중 29명의 찬성으로 현재의 당 상황을 ‘비상상황’으로 보는 당헌 유권해석 안건을 의결했다.
배현진, 조수진, 윤영석 최고위원의 사퇴와 김재원 최고위원의 궐위, 권성동 원내대표의 당 대표 직무대행 사퇴로 최고위원회의 기능이 상실됐다고 본 것이다.
상임전국위에선 비상대책위원장 임명 권한을 ‘당 대표 직무대행’으로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당헌 개정안을 전국위에 상정하는 안건 역시, 40명 중 26명의 찬성으로 가결했다.
의원총회 논의와 최고위원회 의결에 이어 상임전국위까지 비대위 전환의 전제조건을 추인한 것이다.
이에 따라 오는 9일로 예정된 전국위에서 당헌 개정과 비상대책위원장 임명이 이뤄질 경우, 비대위가 정상궤도에 오르게 된다.
9일로 예정된 전국위는 위원 정수가 최대 1000명에 달하는 만큼 코로나19 상황 등을 고려해 ARS(자동응답) 방식으로 표결이 이뤄진다.
서병수 상임전국위 및 전국위 의장은 “비대위원장이 결정돼 전국위에 제출되는대로 결정하겠다”며 “그날 하루에 할 수 있을지 기술적으로 확인하는 문제가 있어서 정상적으로 한다면 그날 하루 동안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서 의장은 또 “당헌당규상 비대위가 구성되면 최고위, 지도부가 해산한다는 조항이 있다. 이것은 현재 당대표 ‘사고’ 유무와 상관이 없는 것”이라며 “자의적 해석이 아니라 당헌당규에 못 박혀 있는 것”이라고 했다.
상임전국위가 이날 비대위 체제를 추인하면서 이 대표의 복귀는 사실상 불가능해졌음을 내비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