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대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자살 시도' 원인·경로 분석
순천향대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자살 시도' 원인·경로 분석
  • 박동혁 기자
  • 승인 2022.06.16 09: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청뉴스 박동혁 기자]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은 "정신건강의학과 심세훈·김지선 교수팀이 최근 자살 시도자들의 시도 원인과 경로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왼쪽부터 순천향대천안병원 심세훈 김지선 교수
(왼쪽부터 순천향대천안병원 심세훈, 김지선 교수

심세훈·김지선 교수팀은 농약 음독, 목맴 등의 치명적인 방법으로 자살을 시도한 성인 200명과 자살을 염두에 두고 있는 성인 우울증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자살률 감소를 위한 연구는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이 중 자살시도자들의 면접은 자살을 시도한 지 24시간 이내에 이뤄졌다.

심세훈 교수는 ”자살 시도자들이 시도 직후 심층 면접을 진행한 최초의 연구“라며, “위험요소를 사전에 파악하고 자살 시도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자살률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자살 시도자들의 시도 주요 원인은 ▲짐이 된다는 느낌 ▲소속감 단절 ▲습득된 자살잠재력(자살에 대한 두려움이 낮아지는 것)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그 원인들이 배경이 되어 사회적응과 대인관계를 어렵게 하고, 우울 증상을 가중시켜 자살 시도로 이어지게 된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두 그룹의 우울 정도를 분석한 결과, 자살 시도자들보다는 자살을 염두에 두고 있는 우울증 환자들의 우울 정도가 훨씬 심하다는 의외의 사실도 밝혀냈다.

이에 대해 김지선 교수는 “자살 시도가 카타르시스를 일으켜 일시적으로 우울감을 떨어뜨린다는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들이 재확인된 것”이라며, “자살 시도자는 습득된 자살 잠재력이 우울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자살을 생각하는 우울증 환자는 습득된 자살 잠재력을 예측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 결과는 SCIE 저널 국제학술지 Psychiatric Investigation 5월호에 ‘Impa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quired Capablity for Suicide on Suicide Attempts: A Cross-Sectional Study’ 제목으로 게재됐다.

한편, 순천향대천안병원 심세훈·김지선 교수는 2013년부터 ‘응급실 기반 자살예방 사업’ 시행을 통해 약 5,000여 명의 자살 시도자를 치료·관리하고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