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6·1 지방선거를 34일 앞두고 대전 서구청장 경선 룰을 또 갈아 엎는다. 벌써 3번째다.
앞서 민주당 비대위는 지난 13일 대전 서구를 전략선거구로 결정했다가 9일 뒤인 22일 청년전략선거구로 지정한 바 있다.
민주당은 시민공천배심원제(현장심사단 70%, 여론조사 20%, 전문심사단 10%) 경선 방식으로 김인식·송석근·유지곤·이선용 예비후보 등 4명 중 서구청장 후보를 선출키로 했으나 중앙당이 5일 만에 또다시 경선 룰 손질에 나선 것.
지역 정가에선 민주당의 공천 작업이 수차례 뒤집히며 '호떡 공천'이라는 비아냥이 나오는가 하면 경선 후보들은 물론 유권자들의 혼선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28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민주당 중앙당은 지난 27일 각 서구청장 예비후보들에게 통화 및 메시지를 통해 경선 방침이 변경됐다고 통보했다. 중앙당은 이날 오후 서울당사에서 변경 내용을 설명하는 자리를 갖는다.
기존 시민공천배심원제는 현장심사단 구성원 중 20~30대가 절반이 참여해 유일한 청년인 유지곤(1981년생) 예비후보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왔었다. 김인식 예비후보는 25일 이에 반발하며 불출마를 선언했다.
그러나 새롭게 적용되는 경선 방식은 180도 달라진다. 현장심사단 40%, 권리당원 투표와 여론조사 각각 30%의 변경안이 유력해서다. 게다가 기존 현장심사단 중 50%의 20~30대 구성 요건도 삭제될 것으로 파악됐다. 따라서 유 예비후보의 경선 행보에도 적잖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유 예비후보는 이와 관련 “많이 괴롭지만, 당의 결정을 수용하는 게 제 원칙”이라며 경선 완주 의지를 밝혔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경선 링에 오른 후보들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실제 후보들 사이에선 '계속 바뀌는 경선 룰에 정신적 고통은 물론 당원들의 인내심도 한계에 다다랐다', '경선을 치르다 선거가 끝나는 것 아니냐'는 등의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왔다.
익명을 요구한 A 예비후보는 “경기장에 선수들을 올려놓고 규칙을 3번이나 바꿔놓으니까 혼란스럽다”며 “얼마나 저희들이 부족했으면 그렇게까지 하는지 당사자 입장에서 너무 힘들다”고 하소연했다.
B 예비후보는 “오락가락하는 경선 방식으로 당의 위신이 훼손되고 구민들의 혼란만 가중시켰다”면서도 “당이 우왕좌왕 갈피를 못잡는데 이럴 거면 전략공천 하는 게 맞다”고 지적했다.
결과적으로 청년이 다른 후보들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도입한 ‘시민공천배심원제’ 혜택을 예상했던 유 예비후보로선 날벼락을 맞게 됐고, 오히려 기존 정치인들에게 유리한 판이 깔렸다.
특히 오랫동안 지역에서 활동했던 정치인이 신인보다 인지도 및 권리당원 확보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어 서구청장 공천을 둘러싼 논란은 재점화될 공산이 크다.
민주당 서구지역 한 당원은 "경선 방식이 계속 바뀌면서 후보들과 당원들이 당에 대한 불신감만 고조되고 있다"며 "가뜩이나 어려운 싸움판에 지도부 입맛대로 규칙을 흔든다면 서구청장 선거는 필패로 이어질 것"이라고 성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