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국내 연구진이 코로나19의 전파율과 위중증 비율의 상관관계를 수리 모델로 입증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IBS 의생명수학 그룹 연구책임자) 연구팀과 의과학대학원 신의철 교수(IBS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장) 등 공동연구팀은 ‘높은 바이러스 전파율은 궁극적으로 코로나19 위중증화 비율을 낮춘다’는 역설적 연구결과를 14이 발표했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 종이 되면서 한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오미크론의 유행이 오히려 코로나19가 경증 호흡기 질환으로 토착화되는 것을 앞당기면서 팬데믹 종식을 가져올 수 있다는 조심스런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번 연구에선 코로나19에 대한 인체 면역반응을 짧게 유지되는 ‘중화항체 면역반응’과 오래 유지되는 ‘T세포 면역반응’으로 나눠 수학모델에 적용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택했다.
그 결과 백신 접종률이 높은 상황에서는 바이러스 전파율이 높아지면 일시적으로는 코로나19 환자 수는 증가하지만 궁극적으로 코로나19 위중증화 비율이 낮아지면서 위중증 코로나19 환자 수는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코로나19가 경증 호흡기 질환으로 토착화되는 과정이 오히려 빨라질 수 있다는 역설적인 연구 결과를 얻었다.
연구팀이 가정한 바이러스 전파율이 높아지는 상황은, 실제에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나 오미크론 등 전파가 잘 되는 변이주의 출현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오미크론 자체의 낮은 위중증 성질은 배제하고, 높은 전파율이 일으키는 결과를 예측한 것으로서 코로나19 토착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다만 연구팀 관계자는 “연령이나 기저질환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위중증률을 수학 모델에서 고려하지 않았다”며 “고위험군 집단을 대상으로 이번 연구 결과를 적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바이러스 전파율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코로나19 환자 수가 너무 많아지면 의료체계가 붕괴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해 연구 결과를 신중하게 해석,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향후 단계적 일상회복 정책으로 다시 전환할 때는 그 무엇보다도 위중증 환자를 수용할 병상 확보 등 의료체계의 정비가 중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