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위원회 분산배치 하려고 입지 평가 대상, 절차 변경
자유선진당 원내대표 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유치위원장인 권선택 국회의원(대전 중구)이 과학벨트위원회가 분산배치를 염두하고 입지 평가 대상 기준 원칙을 변경한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이어 “정부가 지역간 갈등을 조장하고 있다는 비난을 들으면서까지 평가 대상 기준 원칙을 바꾼 것은 영남권을 고려하여 분산배치의 목적이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당초 안대로 광역권지역을 우선 선정할 경우, 충청권이 당연히 선정돼 대구나 광주에 분원을 줄 명분이 사라지지만, 50만평 부지 간에 경쟁을 할 경우 대구지역이 차순위가 되면 분원의 명분을 줄 여지가 생기기 때문”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또 100만평 이상의 거점도시 규모를 절반 규모인 50만평으로 축소하는 것과 관련해서도 “분산배치를 고려한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하고, “규모 축소에 따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서 추구하는 ‘과학기술’과 ‘비즈니스’가 융합된 글러벌 거점기지에서 ‘비즈니스’라는 한 축이 빠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권 의원은 “정부 발표대로 50만평 규모이면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 입주할 공간 외에 비즈니스를 접목할 국내외 기업을 유치할 공간도 없고, 과학벨트특별법의 근거한 외국인 주택, 학교, 병원 등 자족기능을 강화할 배치 공간도 부족하다”고 강조하고, “지금의 과학벨트위원회 안대로 진행되면 아무 특색 없는 과학단지 수준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그 동안 보고서 등을 통해 중이온 가속기 입지규모만 최소 시설면적 33만평, 확장을 고려한 중이온가속기센터 부지 포함하여 45만평이상 필요하다고 밝혀 온 것에 비추어 50만평 규모는 협소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지난 14일 교육과학기술부가 전국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과학벨트 거점지구 입지 부지를 조사해 달라는 공문을 보내면서 지역간 경쟁이 한층 심화되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