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데이터 기반 지능형 도시 건설에 나선다. 빅데이터 정책지원 시스템을 고도화해 시민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것.
대전시의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선진도시 구현을 위한 기본방향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과학행정 ▲누구나 공유·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 구축 ▲데이터 유통 활성화와 거버넌스 체계 강화’등이다.
시는 1일 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서 빅데이터위원회를 열고, 이를 구체화할 4대 추진전략과 13개 세부추진과제를 담은 빅데이터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세부추진과제 첫 번째로 민선7기 시민약속사업인 빅데이터 정책지원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시는 2018년 시스템 도입 후 현재까지 복지, 도시, 안전, 환경, 교통분야 빅데이터를 구축했으며, 올해는 문화, 관광, 의료, 보건 분야를 추가로 구축한다.
빅데이터 생태계 조성도 추진한다. 시민 누구나 쉽고, 편하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데이터 허브 센터를 구축하는 한편, 지역 현안 선제대응을 위해 카드사와 통신사 등 민간 빅데이터도 지속적으로 확보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세종시와 함께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유동인구 밀집지 공동방역 스팟 도출 ▲카드매출 역내ㆍ외 소비패턴 교차분석을 통한 대전-세종 상권 활성화 분석 ▲대전-세종 생활인구와 유동인구 유입・출인구를 활용한 생활권 분석 등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세 번째는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다. 시는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전국 최초로 전 부서와 사업소 등을 대상으로 공공데이터 전수조사를 실시해 약 1100여개의 개방 가능한 신규 공공데이터를 발굴했으며, 5월부터는 부서별 찾아가는 컨설팅 등을 통해 데이터를 고도화하고, 시민에게도 개방한다는 방침이다.
또 대전형 뉴딜사업과 연계한 데이터 청년 인턴십을 추진하여,공공데이터 발굴 및 품질개선을 도모하고, 청년 일자리 250여 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기관간 협력체계 강화를 통한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도 추진한다.
한편 대전시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지역상권 영향분석을 위한 유동인구 및 카드매출 분석 등 총 31건의 주요 시정분야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완료했으며, 전국 최초로 공공데이터 청년인턴십을 활용한 소상공인 전수조사를 추진하여 정책활용을 위한 DB를 구축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