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데이터 기반 지능형 도시로 간다
대전시, 데이터 기반 지능형 도시로 간다
  • 성희제 기자
  • 승인 2021.04.02 09: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빅데이터 정책지원 시스템 고도화 추진

대전시가 데이터 기반 지능형 도시 건설에 나선다. 빅데이터 정책지원 시스템을 고도화해 시민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것.

대전시의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선진도시 구현을 위한 기본방향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과학행정 ▲누구나 공유·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 구축 ▲데이터 유통 활성화와 거버넌스 체계 강화’등이다.

대전시청
대전시청

시는 1일 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서 빅데이터위원회를 열고, 이를 구체화할 4대 추진전략과 13개 세부추진과제를 담은 빅데이터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세부추진과제 첫 번째로 민선7기 시민약속사업인 빅데이터 정책지원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

시는 2018년 시스템 도입 후 현재까지 복지, 도시, 안전, 환경, 교통분야 빅데이터를 구축했으며, 올해는 문화, 관광, 의료, 보건 분야를 추가로 구축한다.

빅데이터 생태계 조성도 추진한다. 시민 누구나 쉽고, 편하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데이터 허브 센터를 구축하는 한편, 지역 현안 선제대응을 위해 카드사와 통신사 등 민간 빅데이터도 지속적으로 확보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세종시와 함께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유동인구 밀집지 공동방역 스팟 도출 ▲카드매출 역내ㆍ외 소비패턴 교차분석을 통한 대전-세종 상권 활성화 분석 ▲대전-세종 생활인구와 유동인구 유입・출인구를 활용한 생활권 분석 등을 공동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세 번째는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다. 시는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전국 최초로 전 부서와 사업소 등을 대상으로 공공데이터 전수조사를 실시해 약 1100여개의 개방 가능한 신규 공공데이터를 발굴했으며, 5월부터는 부서별 찾아가는 컨설팅 등을 통해 데이터를 고도화하고, 시민에게도 개방한다는 방침이다.

또 대전형 뉴딜사업과 연계한 데이터 청년 인턴십을 추진하여,공공데이터 발굴 및 품질개선을 도모하고, 청년 일자리 250여 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기관간 협력체계 강화를 통한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도 추진한다.

한편 대전시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지역상권 영향분석을 위한 유동인구 및 카드매출 분석 등 총 31건의 주요 시정분야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완료했으며, 전국 최초로 공공데이터 청년인턴십을 활용한 소상공인 전수조사를 추진하여 정책활용을 위한 DB를 구축한 바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