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내 먹는 샘물, 상표 띠 없앤다
충남 내 먹는 샘물, 상표 띠 없앤다
  • 김윤아 기자
  • 승인 2021.01.29 15: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9일 대산에스엠, 대정, 하이트진로음료, 스파클 등 업무협약
전국최초 시도...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 억제 등 효과 주목
충남도는 29일 도내 먹는 샘물업체 4곳과 '상표 띠 없는 먹는 샘물 생산 협약'을 체결했다.
충남도는 29일 도내 먹는 샘물업체 4곳과 '상표 띠 없는 먹는 샘물 생산 협약'을 체결했다.

충남도 내 생산되는 모든 먹는 샘물은 상표 띠(라벨) 없는 친환경 용기를 사용한다.

도는 29일 전국 최초로 대산에스엠, 대정, 하이트진로음료 천안공장, 스파클 등 도내 먹는 샘물 업체 4곳과 ‘상표 띠 없는 먹는 샘물 생산 협약’을 체결했다. 

그동안 페트병 겉면의 상표 띠는 분리 배출이 번거로워 재활용률을 떨어뜨리고, 폐플라스틱 발생량을 늘리는 주된 요인으로 지목돼 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도내 4개 업체가 연간 생산하는 생수병 6억 개의 상표 띠를 제거할 경우, 상표 띠 제조에 쓰이는 플라스틱이 연간 약 429톤 절감돼 1151톤에 달하는 온실가스가 줄어들고,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을 위한 약 10억 원의 고품질 폐플라스틱 수입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이번 협약 참여사와 소통·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협약 목표 달성을 위한 행정 지원을 추진하며, 상표 띠 없는 먹는 샘물 생산업체에 재활용 분담금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양 지사는 국내 폐페트병 재활용률이 22%에 불과한 점을 지적하며 “기존 생수병은 용기 몸통에 상표 띠가 부착돼 수거 과정에서 폐기물이 추가로 발생하고, 소비자가 별도 분리·배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재활용 과정에서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플라스틱의 발생을 억제하고, 재생원료로 생산 가능한 고품질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양 지사는 “기존 생산 방식의 변화와 병마개 라벨과 무라벨 제품 판매에 따른 영업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재활용 활성화와 자원 선순환에 동참해 준 협약 업체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한편 도내 분리 배출되는 투명 페트병은 고품질 재생원료로 장섬유(옷 제조 원료), 화장품 용기 제작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도는 지난해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 배출 시범사업으로 화장품 공장과 협약을 체결, 분리 선별된 페트병으로 화장품 용기를 제작한 바 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충청뉴스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