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근간 흔드는 일...최대 피해자는 중구청 직원들"
“한 사람 때문에 그 피해는 수백 명의 중구청 공무원으로 돌아간다.”
박용갑 대전 중구청장의 측근 챙기기 인사가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 대전시공무원노동조합(이하 노조)에서 제기됐다. 박 청장이 시와 인사교류 원칙을 무시하고 중구 부구청장(3급·부이사관)을 자체 승진으로 밀어붙이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시와 중구의 자체 승진 '기싸움'이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이에 노조는 최근 시청 로비 등에 ‘대전시는 중구청과의 인사교류, 예산, 특별교부세 지원을 전면 중단하라’, ‘인사질서 무시하는 중구청장에게 대전시장은 과감한 인사원칙을 보여줘라’ 등의 내용이 담긴 피켓을 설치하며 인사교류 원칙을 강조하고 나섰다.
16일 대전시에 따르면 박 청장이 내년 1월 1일자 정기인사에서 3급 부이사관 자리에 4급 서기관 조성배 도시국장을 자체 승진시키겠다는 의사를 시에 통보했다. 이에 시는 ‘불가’ 입장을 전달한 상태다.
시는 지난주 중구 부구청장과 총무국장 등을 만나 설득 작업을 벌였지만 박 청장이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노조는 중구의 자체 승진 강행 시 어떠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전격적인 인사교류 중단을 허태정 시장에게 피력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한 노조간부는 “인사교류 원칙을 깨는 것은 조직의 근간을 흔드는 일”이라며 “징계성 차원에서라도 인사교류 중단, 특별교부세 지원 중단 등을 통해 강경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청장 측근이 진급을 한다면 최대 피해자는 중구청 공무원이다. 노조 입장에선 절대 물러설 수 없다“면서 ”시와 자치구 간의 인사교류는 인사적체 연계성이 있기 때문에 허 시장이 강력한 리더십을 보여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공직사회에선 이같은 기싸움엔 박 청장의 일부 핵심 공약사업이 관철되지 않은 점에 대한 분풀이성 조치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이와 함께 정치권 시각에서는 박 청장이 허 시장의 권위를 흔들어 오는 2022년 대전시장 선거의 전초전 성격이 강하다는 과장된 분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정윤기 행정부시장은 이날 오후 4시 인사위원회 결과를 발표할 전망이다. 당초 부이사관 승진 요인은 행정직 4명, 기술직 1명 등 5자리를 예상했지만, 박 구청장의 일방적인 자체 승진 통보로 행정직 승진 요인이 4명에서 3명으로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아직 1월 정기인사 발표 전까지 시간이 남아 있는 만큼 부이사관 1자리에 대한 협상을 계속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