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혁신성장 2030바이오산업 전략 연계 시너지 효과 기대감
지난 7월 규제자유특구 지정 1차전에서 고배를 마셨던 대전시가 재도전 끝에 바이오메디컬 규제자유특구에 지정됐다.
정부는 12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규제자유특구규제특례 등 심의위원회’를 열고 대전 바이오메디컬을 비롯해 울산, 경남, 광주, 전남, 전북, 제주 등 7개 지자체를 ‘2차 규제자유특구’로 선정했다.
특구로 지정된 지역은 실증사업을 위한 연구개발(R&D), 인프라 등에 대한 예산이 지원되며, 기업유치와 투자활성화를 위한 세제혜택도 주어진다.
이에 따라 대전은 체외진단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임상검체를 신속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신제품 개발이 용이해지고 조기시장 진출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현재 개별 의료기관별로 운영 중인 혈액과 소변 등 ‘인체유래물 은행’을 3개 기관이 공동으로 운영하고 분양도 할 수 있는 실증특례가 부여된다. 이와 함께 암과 치매 체외진단기기와 같은 신의료 기술평가 유예기간도 현행 1년에서 2년까지 연장된다.
이날 대전시의 규제자유특구 지정 소식에 현재 남아공에 출장인 허태정 시장은 자신의 SNS를 통해 소감을 밝혔다.
허 시장은 “1년여 가까이 치열하게 준비해온 결실”이라며 “수고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바이오메디컬 분야는 성장 잠재력이 무궁한 미래 신산업이자 4차산업혁명 특별시를 가속화할 수 있는 핵심 산업”이라며 “이제는 혁신기술이 활성화되고 관련 산업과 일자리가 새롭게 펼쳐지는 ‘글로벌 바이오클러스터’로 나아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날 시 문창용 과학산업국장도 기자회견을 통해 "대전이 생명연과 추진하고 있는 바이오산업 글로벌 혁신성장 2030바이오산업 전략 수립과 연계해 지역혁신성장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