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이송규 / 금남농협 조합장 | ||
버림과 천대를 받고 있으며 농심(農心)은 애달픈 상황이라, 본인은 농협조합장으로서 답답한 심정 이루 말할수 없다.
쌀은 국민의 생명
전자제품 수출과 쌀 수입, 세계가 지구촌인 시대에서 경제교류는 과거와 판이하게
달라졌다. 국가간 영역이 없어지는 상황에서 자유무역은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또한 부족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에서는 오로지 수출만이 먹고
살길이라는 것에 동의하지만, 소수의 희생강요로 다수의 이익을 도모한다면 계층간의 불균형 및 위화감은 더욱 골이 깊어질 것이 뻔하다.
쌀은 곧, 식량안보이며 국민의 생명이다.
국민의 생명을 외국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은 매우 위험스러운 발상이 아니겠는가.
과거‘밀’을 생각해보자. ‘싼게 비지떡’이라고 무상원조에 길들여지면서 우리농민은 밀농사를 완전 포기했다. 지금은 거의 전량을 수입밀에
의존하고 있으니 그 가격은 외국 마음대로 좌지우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농촌에 부모님을 두고 도회지에 살고있는 자녀들의 마음도 편치않을 것이다.
고향에 내려올때면 쌀과 먹거리를 자가용으로 실어나르는 것도
쏠쏠한 재미였다. 이제 그 정취마저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며, 농촌의 인심도 서서히 각박해져가고 있는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
쌀농사 가치는 상상을 초월
여하튼 쌀 협상 비준안은 통과됐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라고
하지만 소가 도망갔다고 해서, 생명의 보고인 농업을 포기할 수 없는 노릇 아닌가?
본인은 농협조합장으로서 위기에 처한 농촌현실을 직시해,
그동안 쌓아올린 농협경영의 경험과 노하우를 최대한 살려 관내 농가소득과 농업발전을 위해 진력을 기울여 쌀 농사의 가치가 얼마나 중요한 것임을
확실히 보여주겠다고 다짐해본다.
정부는 이에대한 적절한 대처로 농촌을 살리고 식량안보를 지키는데 앞장서야하며, 반면 우리 농민들은 이런 위기를 기회로 삼아 더욱 분발하여 삶의 터전인 우리 농촌을 살리는데 함께 노력을 증진합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