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충남지역의 건설 경기가 살아나고 있지만 대형 국책사업를 타지역건설업체가 독식하고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책과 조례 제정과 제도화와 더불어 대기업과 동등하게 겨룰 수 있도록 지역적인 배려가 필요한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지역의 A건설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지역발주 대형공사의 대기업 독식현상이 심화되면서 지역업체는 수주 난에 허덕이면서 이중, 삼중고를 겪고 있는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대형공사의 경우 최근 턴키(설계. 시공일괄입찰) 발주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턴키 입찰은 경험과 실적이 많은 대기업이 수주에 유리하여 지역업체는 소외되고 있다.
물론 지자체에서 지역제한이나 지역공동의무공동도급 등의 제도로 대형업체와 지방업체간 상생방안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대형업체의 들러리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실질적인 시공권 확보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와같이 지역업체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각종 규제완화 정책이 수도권 위주로 펼쳐지고 있는 것도 더욱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지역경제 살리기 차원에서 지역건설업체에게 힘을 실어줄 수 있는 실질적이고 혁신적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대구시의 경우 턴키 발주시 설계 평가위원 12명중 6명을 대구지역 공무원, 투자기관, 대학교수 등으로 선임하여 지역업체에게 힘을 실어주었다.
인천시의 경우도 그렇다. 최근 OO공사 턴키 설계심의에서는 평가위원 10명 중 공무원 4명 전부를 인천시 공무원으로 선정함으로써 평가에 있어서 지역업체를 간접적으로 지원해주었다.
이와 관련하여 건설업계 관계자는 “지역건설업체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대기업 지역의무공동참여나 지역전문건설업 하도급비율 제한 등의 제도적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지자체 등 발주처에서 의지를 갖고 대기업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역건설업체가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동등 경쟁을 할 수 있도록 정서적인 장치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말했다.
지역건설업체의 경쟁력이 점점 약화되는 이유로는 불편부당한 경쟁도 한몫을 하고 있다. 브랜드나 실적 등에 밀려서 지역업체가 연고지역에서마저 소외당하는 현상은 결국 지역경제의 침체로 연결 될 수 밖에 없다.
지역건설업체를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한 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