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전 대전 공노련은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첨복단지 대전 입지를 촉구·건의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그러나 최근 첨복단지 유치전에 뛰어든 11개 지자체의 유치 노력이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어, 자칫 국가의 미래를 책임질 첨복단지가 정치적 압력이나 지역적 형평성에 치우치는 결과가 나올 수도 있음을 우려했다.
더불어 일부 지자체에서 주장하고 있는 국가 균형발전 차원 첨복단지 유치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고도성장이 중요한 과학기술에 정면 배치하고 있음을 짚었다.
따라서 대전 공노련은 첨복단지 조성을 통해 세계 의료산업 우위를 선점키 위해서는 BT·IT·NT·RT 등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 기술 개발 환경이 최적화돼 있는 곳이야 하며, 그 최적 장소는 대덕특구가 있는 대전시가 돼야 할 것이라고 재차 촉구했다.
이들의 주장은 대덕특구에 매년 BT 관련 연구개발에 2200억원 이상이 투자되고 있고, 첨복단지 입지에 필요한 부지 확보와 함께 R&D 특구 지정에 따른 국세·지방세 감면 혜택 등 이미 첨단의료산업 발전을 위한 인프라가 조성돼 있기 때문에 '최단 기간에 최소 비용으로 최대효과' 창출이 가능한 전국 유일 지역이라는 설명이다.
대전 공노련은 이날부터 국무총리를 포함 정부 각료와 각 정당 대표, 대전 지역 국회의원 등 해당 기관을 방문 촉구·건의서를 전달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충청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